',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지각 인생 손석희, 그리고 앵커브리핑
본문 바로가기

세상

지각 인생 손석희, 그리고 앵커브리핑

반응형
SMALL



과거 손석희가 썼던 글, '지각인생' 을 본적이 있다.

감명 깊어 기억하고 있었다.

사촌누나와 전화통화 하다 '지각인생' 이야기가 나왔다.

그래서 다시 찾아보니 , 너무 좋은 글이라 소개도 할겸, 손석희라는 사람이 어떤사람인지

살펴볼겸 글을 쓰려 한다.

지각인생은

그가 지난 97년부터 만 2년간 미국 미네소타 주립원 대학원에서 공부하던 시절의 경험을 적은 것으로

월간중앙 2002년 4월호 '내 인생의 결단의 순간' 시리즈에 기고했던 글.



남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나는 내가 지각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학도 남보다 늦었고 사회진출도, 결혼도 남들보다

짧게는 1년, 길게는 3~4년 정도 늦은 편이었다.

능력이 부족했거나 다른 여건이 여의치 못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모든 것이 이렇게 늦다 보니 내게는 조바심보다 차라리 여유가 생긴편인데,

그래서인지 시기에 맞지 않거나 형편에 맞지 않는 일을 가끔 벌이기도 한다.

내가 벌인 일 중 가장 뒤늦고도 내 사정에 어울리지 않았던 일은

나이 마흔을 훨씬 넘겨 남의 나라에서 학교를 다니겠다고 결정한 일일 것이다.

1997년 봄 서울을 떠나 미국으로 가면서 나는 정식으로 학교를 다니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남들처럼 어느 재단으로부터 연수비를 받고 가는 것도 아니었고,

직장생활 십수년 하면서 마련해 두었던 얄량한 집 한채 전세 주고

그 돈으로 떠나는 막무가내식 자비 연수였다.

그 와중에 공부는 무슨 공부. 학교에 적은 걸어놓되 그저 몸 성히 잘 빈둥거리다 오는 것이 내 목표였던 것이다.그러던 것이 졸지에 현지에서 토플 공부를 하고 나이 마흔 셋에 학교로 다시 돌아가게 된 까닭은 뒤늦게 국제 민간재단으로부터 장학음을 얻어낸 탓이 컸지만,

기왕에 늦은 인생, 지금에라도 한번 저질러 보자는 심보도 작용한 셈이었다.

미네소타 대학의 퀴퀴하고 어두컴컴한 연구실 구석에 처박혀

낮에는 식은 도시락을 까먹고, 저녁에는 근처에서 사온 햄버거를

꾸역거리며 먹을 대마다 나는 서울에 있는 내 연배들을 생각하면서

다 늦게 무엇 하는 짓인가 하는 후회도 했다.

20대의 팔팔한 미국 아이들과 경쟁하기에는 나는 너무 연로(?)해 있었고

그 덕에 주말도 없이 매일 새벽 한두시까지 그 연구실에서 버틴 끝에 졸업이란 것을 했다.

돌이켜보면 그때 나는 무모했다.

하지만 그때 내린 결정이 내게 남겨준 것은 있다.

그 잘난 석사 학위 ? 그것은 종이 한장으로 남았을 뿐,

그보다 더 큰 것은 따로 있다.

첫 학기 첫 시험때 시간이 모자라 답안을 완성하지 못한 뒤

연구실 구석으로 돌아와 억울함에 겨워 찔끔 흘렸던 눈물이 그것이다.

중학생이나 흘릴 법한 눈물을 나이 마흔 셋에 흘렸던 것은

내가 비록 뒤늦게 선택한 길이었지만

그만큼 절실하게 매달려 있었다는 방증이었기에

내게는 소중하게 남아있는 기억이다.

혹 앞으로도 여전히 지각인생을 살더라도

그런 절실함이 있는 한 후회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어떤가. 반쯤 넘어왔을게다.

손석희의 매력에..

JTBC 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손석희

(현재 JTBC 뉴스룸 진행자 겸 JTBC 보도,시사,교양 총괄 사장)

언제인지 모르겠으나 , 가장 신뢰받는 뉴스가 지상파가 아닌 JTBC 로 선정되었던 적이 있는데

그 중심에는 손석희가 있었다.

누구도 부인할수 없겠지.

지금이야 JTBC 이미지가 엄청나게 좋지만

종편 처음 나온다고 했을때, 나왔을 때 어땠는지 기억들 나시는지..

엄청나게 부정적이었다 사람들도.



그리고 엉망진창이 었다 JTBC 뉴스는

어땠냐고?




종편이라는 말이 참 잘 어울리는 뉴스였다.



손석희 취임 이후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여러분들이 더 잘아시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그래도 보여드리자면



아니! 이게 다 손석희 한 사람때문인것 처럼 말하는데!! ㅡㅡ;

너무 손석희를 신처럼 떠받드는거 아니냐

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손석희가 아니었으면 현재 JTBC가 이렇게 신뢰받고 사랑받을수 있었을까.

사장인 그는 직접 시사,교양 등 뉴스에 관련된것을 직접 확인한다..

여튼!

처음에 사람들이 손석희가 종편에 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어쨌든 종편, 중앙일보 관련된 보도국이고 중도,균형을 유지하던 손석희가

그곳의 간부로 간다는게 .

But

손석희는 자신에게 보도 부문 전권이 있는 만큼, 할 일은 하겠다는 의사 표시를 강력히 드러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392005

그를 인터뷰한 기사

그는 시종일관 강력하게 맞받아친다.

그의 의지를 한번더 확인할 수있다.

그의 출사표는 어떠하였는지.

한번 보자.


진실의 힘.

지금 그 힘을 가장 통쾌하게 말해주고 있는 코너가 바로 '앵커 브리핑!'

앵커 브리핑에서 손석희는

(내가 생각하기에) 마땅히 그래야 하는 일이 권력에 의해

혹은 다른 부정부패로 인해 무시되어지는 일을

똑바로 바라보고 차분하게 이야기 한다.

듣고 있으면 탄산의 연속이다.

귀지가 톡톡 터져 사라지게끔 하는 본격 귀정화 방송...

몇개를 추려봤다.


1. 대체 어느나라 정부인지




2. 농담 아님



3. 393







손석희


멋진 사람
멋진 어른

그를 계속해서 보고 싶다.



+
이 영상을 올릴까 말까 고민했다.
가슴 아픈 일이니까.
생각해보니 고민하는 이유가 , 올리는 이유로 변했다.


어쨌든 이 영상에선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살펴 볼 수 있다.










반응형
LIST